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의 파급효과: 송파·강동 아파트 경매시장 열기 고조
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읽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항상 중요한 과제입니다. 최근 서울 부동산 시장에 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. 바로 ‘잠삼대청’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인데요. 이번 글에서는 이 정책 변화가 부동산 시장, 특히 경매 시장에 미친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.
1. 서론: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시장 반응
2025년 2월 13일, 서울시는 잠실·삼성·대치·청담동(일명 ‘잠삼대청’)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5년 만에 해제했습니다[4]. 이는 부동산 시장에 즉각적인 반향을 일으켰고, 특히 송파구와 강동구 아파트 경매 시장에서 뜨거운 열기로 나타났습니다.
부동산 가격 급등이 우려되는 지역에서 투기를 막기 위해 지정되는 구역입니다. 이 구역 내에서 주택을 구매할 경우, 2년간 실거주 의무가 있어 ‘갭투자’가 불가능했습니다[4].
2. 본론: 경매 시장의 뜨거운 반응
2.1 송파 헬리오시티: 역대 최다 입찰자 기록
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경매에서 나타났습니다. 2025년 2월 24일 진행된 전용면적 85㎡ 아파트 경매에 무려 87명이 입찰했습니다[5][7]. 이는 2010년 이후 서울 아파트 경매 중 최다 입찰자 수를 기록한 사례입니다.
| 구분 | 내용 | 
|---|---|
| 물건 |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85㎡ | 
| 경매 일자 | 2025년 2월 24일 | 
| 입찰자 수 | 87명 (역대 최다) | 
| 감정가 | 18억 3,700만원 | 
| 낙찰가 | 21억 5,777만원 | 
| 초과 낙찰액 | 3억 2,077만원 | 
2.2 강동구 아파트: 연쇄 반응
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의 영향은 인접한 강동구 아파트 경매에도 미쳤습니다. 2025년 2월 17일 진행된 고덕그라시움(60㎡)과 고덕아르테온(85㎡) 경매에 각각 30명의 입찰자가 몰렸습니다[5][7].
- 고덕그라시움 (60㎡)
- 감정가: 12억 1,000만원
 - 낙찰가: 14억 1,300만원
 - 초과 낙찰액: 2억 300만원
 
 - 고덕아르테온 (85㎡)
- 감정가: 15억 6,000만원
 - 낙찰가: 16억 700만원
 - 초과 낙찰액: 4,700만원
 
 
2.3 시장 분석: 전문가 의견
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:
“서울 아파트에 이렇게 많은 입찰자가 몰린 것은 처음입니다. 잠실은 물론 그 여파가 인근 강동구까지도 확산하는 분위기입니다.” –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[7]
전문가들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인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합니다:
- 갭투자 증가: 2년 실거주 의무가 사라져 전세를 끼고 주택을 구매하는 ‘갭투자’가 가능해졌습니다[9].
 - 매도자 우위 시장: 투자 수요 증가로 인해 매도자 우위의 시장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[9].
 - 전세 물량 증가: 실거주 의무가 없어짐에 따라 전세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[9].
 
2.4 서울 아파트 가격 동향
이러한 변화는 서울 전체 아파트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 부동산R114의 조사에 따르면, 2025년 1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13억 8,289만원을 기록했습니다[10]. 이는 이전 최고점인 2022년 5월의 13억 7,532만원을 넘어선 수치입니다.
3. 결론: 투자자들을 위한 시사점
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인한 부동산 시장의 변화는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 다만,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:
- 단기 과열 가능성: 경매 시장의 과열 현상이 일시적일 수 있으므로,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.
 - 지역별 차이: ‘잠삼대청’ 인근 지역과 그 외 지역의 시장 반응이 다를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.
 - 정책 변화 모니터링: 서울시는 집값 급등 시 재지정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으므로[6], 지속적인 정책 동향 파악이 중요합니다.
 - 투자 다각화: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 
부동산 시장은 항상 변화하고 있습니다.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같은 정책 변화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, 동시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도 합니다.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시하며, 신중하고 전략적인 접근을 통해 자산을 효과적으로 운용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.